[Uipath] Orchestrator 설치_0.기본개념

2021. 3. 17. 10:23·[RPA]
반응형

Uipath에서 Orchestrator(줄여서 OC) 설치는 기본적으로 서버설치 개념이다. (회사에서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그러기 위해선 여러가지 설정을 해줘야 되는데 그전에 기본적인 개념부터 대충 알고 넘어가야 나중에 이런저런 세팅을 왜 하는지 알 수 있다. 

 

 

 

※ 설치를 하지 않고도 Uipath 에서 Trial버전인 cloud.uipath.com(2021.02월에 이 URL주소가 platform.uipath.com 에서 바뀐것 같다. platform.uipath.com에 들어가면 cloud.uipath.com에 접속된다.) 에 들어가면 바로 OC를 사용해 볼 수 있다. 

 

cloud.uipath.com 접속화면

-본인이 회사에서 OC라이센스를 구매하지 않고, 교육용 목적으로만 사용한다면 위에 사이트에 접속해서 사용해 볼 수 있다. (Trial 라이센스 요청하는게 있는데 신청하면 바로 적용된다.)

 

 

이제 OC의 기본개념을 살펴보면

 

 

 

●  대략적인 트리

 

간단하게 만든거라 퀄이 좋지 못 함

 

 

 

●  용어 정리

용어

설명

Organization

- 하나의 조직 단위
- Ex) 티스토리 회사

Tenant

- 하나의 조직에서 파생된 부서 단위
- Ex)○○부서

Environment

로봇들의 속성값들을 관리하는 그룹단위

Machine

O.C 와 로봇을 연결해 주는 역활

Robot

하나의 컴퓨터

Package

UiPath 에서 O.C로 Publish 한 상태

Process

Package를 Environment(로봇)에 할당 시킨 단계

Assets

- O.C가 robot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

- Ex)Boolean, Text, String, Int

Queue

-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자유형식)

- Ex)고객세부정보, Transaction의 sequence 등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호스트 이름과 그것의 도메인 이름으로 구성

-Ex) www(호스트명), yahoo.com.(도메인명), www.yahoo.com.(FQDN)

IIS

- Internet Information service , 마이크로 소프트 인터넷 정보 서비스

- 웹 서버

Host

-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이름

- Cmd에 whoiam 입력

SSL인증서(서명인증서)

- 서버와 보안 통신을 하기 위함. 서버에 설치한다.

- Cmd에 certlm.msc 입력하면 확인 가능

Port(포트)

-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

- 네트워크 서비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

Node(노드)

- 의미기 굉장히 많지만 O.C에서는 서버관련 개념인 접속 경로의 의미

- 서버로 연결하는 통로

 

 

 

 

●  Attended Robot

Attended robot

Attended 

사용자와 동인한 작업환경에서 작업하고, 사용자가 이밴트를 이용해 실행

Studio 

개발목적으로 Studio와 OC 연결

StudioX 

개발목적으로 StudioX와 OC 연결

StudioPro 

개발목적으로 StudioPro와 OC 연결

 

 

 

●  Unattended Robot

Unattended robot

Unattended 

사용자의 감독없이 자동으로 실행됨. Attended Robot의 모든 특징을 가지고, 추가로 remote execution, monitoring, scheduling, Queue를 통해 실행도 가능함.
Test case는 제외

NonProduction 

Unattended mode에서 개발을 위한 목적.
Test case 실행은 제외

Testing 

Unattended mode에서 개발과 테스트를 위한 목적
Test case 실행 가능

 

 

 

● Robot 생성 때

Standard robot

Floating robot

단일 Machine 으로만 실행될 때

O.C에 의해 작동되는 Machine이 바뀔 상황일 때

 

 

 

다음피드 부터는 본격적인 OC설치를 위해 사전에 설치해야 하는것들이 있는데, 그것부터 차례대로 실행해 보겠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R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path][Orchestrator] Community 에서 Enterprice Trial로 변경하기  (0) 2021.04.15
[Uipath][Orchestrator] Classic Folder(Default 폴더) 생성하기 1  (0) 2021.04.12
[Uipath][정규식]{(?<=),(?=)} 문단 Header,Footer 인식시키고 출력안하기  (0) 2021.02.04
[Uipath] 파일 경로 설정 Tip  (0) 2021.02.03
[Uipath]단축키 모음  (0) 2021.01.26
'[R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ipath][Orchestrator] Community 에서 Enterprice Trial로 변경하기
  • [Uipath][Orchestrator] Classic Folder(Default 폴더) 생성하기 1
  • [Uipath][정규식]{(?<=),(?=)} 문단 Header,Footer 인식시키고 출력안하기
  • [Uipath] 파일 경로 설정 Tip
jkod
jkod
  • jkod
    개발린이
    jkod
  • 반응형
    • 분류 전체보기 N
      • [RPA]
      • [Python]
      • [VBA]
      • [JAVA]
      • [Window]
      • [MAC]
      • [기타] N
        • 생활 N
  • 최근 글

  • 인기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2
jkod
[Uipath] Orchestrator 설치_0.기본개념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