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사양
컴퓨터 사양은 Cloud OC(Orchestrator)가 아닌 독자적으로 회사의 서버를 구축한 OC(지금 과정에서 하는 OC설치)는 무조건 노트북이 아닌 데스크탑 PC를 사용해야 한다. 노트북은 안된다.
그럼 컴퓨터 최소 사양은 아래에 보이는 표와 같다.
● UiPathPlatformlnstaller.exe
사전에 설치해야 할 작업들을 하기 전에 미리 UIpath OC를 설치파일을 실행 할 때 어떤 설치과정이 필요한지 살펴 본 후 필요한 설치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다.
O.C의 설치 파일은 UiPathPlatformlnstaller.exe(UIpath사이트 다운 가능함. 필요신분들은 댓글을 다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인데 해당 파일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해 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처음 나온다.
여기서 밑에 있는 단일 노드를 설치 할 것인지 다중노드를 설치할 것인지 선택을 해서 들어가야 한다.
(여기서 단일,다중 노드의 자세한 차이는 따로 포스팅해서 정리할 예정)
● 단일, 다중노드 선택시 차이점
차이점은 다중 노드 설정 부분에서 차이점이 있다.
쭉 한번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 보겠다.한 포스팅에 모든 설치 과정을 담기에는 너무 내용이 많으므로 간단하게만 훑어보고 자세한 설정방법은 각각 포스팅.
● IIS 설정
여기서는 알 수 있는것은 우리가 호스트 이름을 알아야 한다는 것과, SSL인증서를 생성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SSL인증서는 자체서명된 인증서, 신뢰할수 있는 기관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로 나뉜다.
자세한 내용은 역시 따로 포스팅
(필자는 처음에 SSL인증서를 제대로 설정하지 못해서 고생한 기억이 있음.... 이 부분만 설정하는데 하루날린 기억...)
● 어플리케이션 풀 설정
여기서는 따로 필요한 부분은 없이 다음으로 넘어가면 되는 부분이다.
● 데이터베이스 설정
이부분을 보면 sql설치를 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ql서버는 O.C에서 MSsql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필자가 직접 정리해서 포스팅할 예정이지만, MSsql설치는 여러가지 잘 정리된 포스팅을 봐도 된다.
Window 통합 인증은 따로 sql계정을 만들지 않았을 경우이고(기본 admin계정) , SQL Server 인증은 Sql에서 생성한 계정정보를 입력할 경우이다.
● ID 서버 설정
데이터 베이스이름은 sql에서 생성한 데이터 베이스를 넣으면 되고, Orchestrator 공개 URL은 default로 잡히는데 수정하면 된다.
서명 인증서에는 SSL인증서를 채워주면 된다.
● Elasticsearch 로그 설정
OC의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설정이다. 추후에 OC를 설치한 후에도 설정을 할 수 있으므로, 현재 단계에서는 넘어간다.
추 후에 이것도 따로 포스팅해서 올리도록 하겠다.
● Orchestrator 인증 설정
호스트 접속시 비밀번호, 테넌트 접속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곳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된다.
설정을 안 해 줄 경우 기본적으로 Uipath에서 설정한 값은 아래와 같다.
host :
ID : host
PW : 3edcVFR$
Tenant
ID : default
PW : 890iop
로 설정되어 있으니 혹여나 위에 설정란을 안 해서 나중에 접속이 안 될 때 참고바란다.
● 추가 도구 설정
이 부분도 설치가 완료된 후에도 추가 설정이 가능하니 다음으로 넘어간다.
추후에 따로 이부분도 설정했을때 포스팅 할 예정임
● 다중노드 설정
이 부분은 처음 설치시에 다중노드 설정했을 때 나오는 칸이다. 우선 단일노드, 다중노드의 개념을 알아야 하기에 이정도 가 있다는 것만 알아두고 넘어간다.
● 설치 요약
최종 설치 요약된 정보를 확인한다.
이제 겨우 설치의 클릭을 누를수 있다.
● 설치 중
설치 중에 해당 설치정보를 담은 json파일의 위치를 알려준다. 해당 json파일에는 sql사용자 계정 정보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보여주지는 못 하지만 한 번 설치가 완료되면 열어서 확인해 보길 권장한다.
● Orchestrator 시작하기
IIS관리자에 들어가 보면 우리가 지금까지 만들었던 OC서버가 등록되어 있고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는 칸이 보인다. 저기로 클릭하면 OC로 이동이 가능하다.
● Orchestrator 접속하기
접속하게 되면 이런 창이 보인다. 우리가 Cloud.uipath.com 사이트에서 보던것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다.
ID가 host일 경우에는 host 관리자로 이동이 가능하고, default로 입력하고 접속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생성된 Tenant로 접속이 된다.
ex host )
Tanant name : host
Username or email : admin
password : *******
ex Tenant1)
Tanant name : default
Username or email : admin
password : *******
PW는 아까 설치단계에서(● Orchestrator 인증 설정) 설정한 PW를 입력해 주면 된다.
(admin은 ID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까지가 대략적인 개요이고, 이대로 따라하면 중간중간 오류가 굉장히 많이 날 수 밖에 없다.
지금까지 보여준 것은 모든 오류사항을 fix하면서 진행한 단계이기 때문에 참고만 바란다.
필자가 여기까지 설치를 하면서 겪은 세부적인 오류들은 모두 정리해서 올릴예정이다.
'[R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Uipath] Orchestrator에서 Modern folder 로봇 이름 변경 (0) | 2021.08.20 |
---|---|
[Uipath] 폴더에 있는 Excel파일들 경로 배열로 담기 (0) | 2021.04.28 |
[Uipath][Orchestrator] Classic Folder(Default 폴더) 생성하기 2 (0) | 2021.04.15 |
[Uipath][Orchestrator] Community 에서 Enterprice Trial로 변경하기 (0) | 2021.04.15 |
[Uipath][Orchestrator] Classic Folder(Default 폴더) 생성하기 1 (0) | 2021.04.12 |